본문 바로가기
경제학

경제학 역사에서 슘페터 학파: 창조적 파괴를 통한 경제 성장 이해하기

by Rich_PaPa 2024. 4. 5.

슘페터 학파의 관점

 - 경제 발전에 있어 자본주의는 강력한 추진력을 가지고 있지만, 기업이 커지고 관리 체계가 복잡해짐에 따라 그 성장력이 약화될 수 있다는 것이 관건입니다.

 

경제학에서 슘페터가 남긴 발자취

조지프 슘페터는 경제학의 역사에 큰 발자취를 남기지는 않았지만, 그의 사상은 그만큼 독특했으며 이에 따라 그의 이름을 딴 슘페터 학파와 신슘페터 학파가 생겨났습니다.
오스트리아학파처럼, 슘페터 역시 완전히 마르크스 학파의 영향에서 벗어나지 못했습니다. 실제로 그의 1942년 작품인 "자본주의, 사회주의, 민주주의"의 첫 네 장은 마르크스에 대한 내용을 다룹니다. 이에 따라 유명한 케인스학파의 경제학자 조앤 로빈슨은 슘페터를 "형용사만 바꾼 마르크스"라고 비판하기도 했습니다.

경제학 역사에서 슘페터 학파
경제학 역사에서 슘페터 학파

 

슘페터 학파가 바라본 경제 성장 과정

슘페터는 마르크스의 기술 발전 이론을 확장하고, 기업가의 혁신이 새로운 생산 기술, 제품, 그리고 시장을 창조함으로써 자본주의의 발전을 주도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런 혁신이 성공하면 기업가는 일정 시간 동안 해당 시장에서 독점적인 위치를 차지하게 되고, 이를 통해 많은 이익을 얻게 됩니다. 이런 이익을 슘페터는 '기업가 이익'이라고 명명했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흐르면 경쟁 기업들이 이 혁신을 따라 하기 시작하고, 이에 따라 모든 기업의 이익 수준이 '정상'으로 되돌아가게 됩니다. 애플의 아이폰이 한때 스마트폰 시장을 독점했던 것을 생각해 보시면 이해가 쉬울 것입니다. 이제는 많은 다른 기업들이 스마트폰을 생산하고 있죠.

 

슘페터가 말한 창조적 파괴란?

슘페터는 이런 기술 혁신을 통한 경쟁이 신고전주의 경제학이 이야기하는 가격 경쟁보다 훨씬 강력하고 중요하다고 봤습니다. 신고전주의 경제학에서는, 기업들이 '이미 존재하는' 기술을 활용하여 효율성을 높이고 가격을 낮추는 방식으로 경쟁한다고 설명하는데, 이에 반해 슘페터의 이론은 혁신을 통한 경쟁이 더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슘페터는 가격 경쟁과 혁신을 통한 경쟁은 너무나도 많은 차이가 있음을 강조했습니다. 그는 이 둘의 차이를 "문을 그냥 여는 것과 문을 폭발시키는 것 정도의 차이"라고 묘사했습니다.
슘페터의 예측은 매우 통찰력 있었습니다. 그는 장기적으로 볼 때, 어떤 기업도 '창조적 파괴'의 휩쓸림에서 안전하지 않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는 과거에 해당 분야를 선도했던 GM, IBM, 코닥 같은 기업의 쇠락과 파산이 혁신을 통한 경쟁의 힘을 매우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슘페터의 예측이 틀린 이유는 무엇인가?

자본주의의 역동성에 대한 슘페터의 확고한 신념에도 불구하고, 그는 자본주의의 미래에 대해 낙관적이지 않았습니다. 그의 저서 "자본주의, 사회주의, 민주주의"에서 그는 기업의 규모와 기술 혁신의 과학적 원칙이 점점 확대됨에 따라, 전문 경영인들이 기업가들의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기업 경영이 관료화되면서, 자본주의는 그 역동성을 잃게 될 것이라는 그의 주장은, 자본주의의 역동성이 기업가라는 절대적인 영웅들의 능력과 추진력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슘페터에 따르면, 이런 과정을 통해 자본주의는 마르크스의 예측처럼 갑작스럽게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서서히 약화되어 사회주의로 바뀌게 되리라는 것이었습니다.
그러나 슘페터의 예측은 현실화되지 않았습니다. 자본주의는 그가 예상했던 우울한 죽음을 맞이하는 대신, 사실상 '더욱' 역동적으로 변화하였습니다. 이는 기업가 정신이 단지 기업가에 의해서만 이끌리는 것이 아니라, 기업 내외의 수많은 주체가 참여하는 집단적 노력으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음을 슘페터가 깨닫지 못했기 때문이었습니다.
현대 산업에서의 기술 발전은 대부분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실질적인 노력의 결과로 점진적인 혁신이 이루어집니다. 이는 생산 라인에서 일하는 노동자들조차도 혁신에 참여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여러 자동차 회사 중, 특히 토요타는 이런 방식으로 공장에서 일하는 노동자들의 의견을 최대한 활용하여 혁신 과정을 진행하였고, 이로 인해 큰 성과를 얻었습니다.

토머스 에디슨이나 제임스 와트처럼 천재들이 혁신을 주도하는 시대는 지나갔습니다. 현재는 기업이 혁신을 추진할 때 정부, 대학, 자선 재단과 같은 다양한 비영리 주체가 제공하는 연구 자금과 연구 결과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이는 사회 전체가 혁신에 참여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슘페터는 이런 '다양한 참여자들'의 역할을 제대로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일반적인 기업가들의 역할이 줄고 그 결과 자본주의는 역동성을 잃고 약화될 것이라는 잘못된 결론에 도달했습니다.
슘페터의 학문적 계승자들은 '국가 혁신 시스템'이라는 접근법을 통해 기업, 대학, 정부 등 다양한 주체들이 혁신 과정에서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분석하였습니다. 이로써 슘페터 이론의 한계를 극복하였습니다.
그러나 슘페터 학파는 기술과 혁신에 너무 집중하다 보니 노동, 금융, 거시경제 등 다른 경제 문제에 대한 고려가 상대적으로 부족했다는 비판을 받았습니다. 이는 특정 문제에 집중하는 것이 다른 학파들의 공통된 특징이지만, 슘페터 학파는 특히나 그 초점이 협소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 학파, 때때로 '진화 경제학'이라고도 불리는 이 분야의 대표적인 학자들로는 크리스토퍼 프리먼, 벵트 오케 룬드발, 마리오 치몰리, 조반니 도시, 리처드 넬슨, 시드니 윈터 등이 있습니다. 이들은 각자의 방식으로 슘페터의 이론을 발전시키고 확장하였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