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학

경제학 이론, 쿠즈네츠의 가설과 불평등 측정 방안

by Rich_PaPa 2024. 3. 26.

경제학적으로 구즈네츠의 가설과 팔마 비율, 지니계수를 이용하여 불평등도를 측정 할수 있습니다.

경제학 이론, 쿠즈네츠의 가설 :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불평등도는 변화한다. 

1971년 노벨 경제학상이 제정된 이후 러시아 태생의 미국 경제학자인 사이먼 쿠즈네츠가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했습니다. (첫 번째 수상은 1969년). 그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불평등이 어떻게 변하는지에 대한 유명한 이론을 제안했습니다. 쿠즈네츠 가설로 알려진 이 이론은 국가의 경제가 발전함에 따라 불평등이 먼저 증가한 다음 감소한다고 말합니다.
이 가정은 지난 반세기 동안 불평등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쿠즈네츠는 경제 발전 초기에는 소득 분배가 상당히 평등했다고 믿었습니다. 왜냐하면 이 단계에서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가난한 농부이기 때문입니다. 산업화가 진행되면서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농업에서 고임금 산업으로 넘어올 것이고 이에 따라 경제가 발전할수록 불평등이 줄어들기 시작한다고 주장했다 이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산업 부문이나 산업 부문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도시 서비스 분야에서 일하고, 저임금 농업 부문에서 일하는 사람은 거의 없기 때문입니다. 그 결과 유명한 역 U자형 쿠즈네츠 곡선이 탄생합니다.

경제학 이론, 쿠즈네츠의 가설과 불평등 측정 방안
쿠즈네츠의 가설


쿠즈네츠 가설의 부족함

널리 사용됨에도 불구하고 쿠즈네츠 가설을 뒷받침하는 증거는 다소 약합니다. 1970년대까지만 해도 오늘날 선진국의 사례가 이에 부합하는 것 같았습니다. 19세기 중반 영국, 20세기 초 미국 등 국가의 불평등이 산업화 초기에 심화됐다가 시간이 지나면서 낮아지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1980년대 이후 대부분의 국가에서 불평등이 다시 증가했습니다. 미국, 영국 등 일부 국가에서는 불평등이 급격히 증가해 역 U자 곡선의 꼬리가 다시 상승하고 있습니다. 이 가정은 또한 오늘날 개발도상국에도 적용되지 않습니다. 대부분의 개발도상국에서는 경제 발전과 함께 불평등이 증가하지만(한국과 대만 제외), 대부분의 경우 경제가 계속 성장하더라도 불평등은 거의 감소하지 않습니다.

 

 

경제 정책에 따른 불평등 수준

쿠즈네츠 가설을 뒷받침하는 증거가 부족한 주된 이유는 경제 정책이 불평등 수준을 결정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입니다. 최근 영국과 미국의 불평등 증가는 규제 완화, 부유층 감세 등의 정책에 크게 기인합니다.
1950년대와 1960년대 대만과 한국의 불평등도가 증가하지 않은 것 또한 정책적인 이유라고 설명할 수 있습니다. 이 기간에 양국은 토지의 주인들이 토지의 대부분을 저렴한 가격에 소작농들에게 판매하도록 하는 토지 개혁을 시행했습니다. 그런 다음 수입 통제, 비료 보조금, 관개 시설을 제공하여 소규모 농민 계층을 보호했습니다. 또한 소규모 매장이 대형 매장과의 경쟁에서 살아남을 수 있도록 보호 조치도 취해졌습니다.
사실, 쿠즈네츠 자신은 경제 발전의 후기 단계에서 불평등이 자동으로 감소한다고 믿지 않았습니다. 그는 현대 경제 발전의 본질이 역 U자형 곡선으로 불평등이 감소될 가능성이 있다고 믿지만, 불평등 감소의 실제 정도는 노동조합의 강도, 특히 복지국가의 정책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생각하였습니다.
불평등 수준을 결정하는 데 있어서 복지국가의 중요성은 유럽과 미국을 비교할 때 명백해집니다. 세금을 부과하고 복지국가로 전환하기 전, 유럽 국가의 소득 불평등은 미국과 비슷하거나 심지어 더 높았습니다. 그러나 복지 국가로 변화한 뒤에는 독일, 프랑스, 벨기에 등 유럽이 미국보다 더 평등합니다.


불평등의 종류

1. 가장 일반적으로 언급되지만, 소득 불평등은 경제적 불평등의 한 유형일 뿐입니다. 경제적 불평등에는 부 또는 인적 자본의 불평등도 포함됩니다.
2. 비경제적 불평등도 존재한다. 아직도 많은 사회에서 사람들은 계급, 인종, 종교, 성별, 성적 취향, 이념 등으로 인해 정치, 학계, 고위직에서 배제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경제학에서 팔마 비율과 지니 계수를 활용한 불평등 측정 방안 

위에 나열된 다양한 유형의 불평등 중에서 소득과 부의 불평등만 쉽게 측정할 수 있습니다. 둘 중 자산 데이터는 소득 데이터보다 부실하여 통계에 쓰기에 좋지 않습니다. 그래서 우리가 보는 불평등 통계는 대부분 소득에 관한 것입니다. 어떤 경우에는 소비 조사를 통해 소득 불평등 데이터가 수집되는데 이는 실제 소득 조사 또한 어렵기 때문이다. 소득 분배의 불평등을 측정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가장 널리 사용되는 지니계수는 20세기 이탈리아 통계학자인 코라도 지니(Corrado Gini)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습니다. 지니계수는 아래 그림과 같이 로렌조 곡선으로 표현되는 실제 소득분배를 완전 평등 상황(45도 직선)과 비교한 것이다. 로렌츠곡선은 최하위 계층의 누진 소득 비율을 추정해 그린 것이며, 지니계수는 로렌츠곡선과 45도 각도 직선 사이의 그래프 면적을 면적으로 나눈 것이다. 그 직선 아래의 삼각형의. 이 값은 0에 가까울수록 평등하고, 1에 가까울수록 불평등합니다.
최근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한 교수는 가브리엘 팔마로 상위 10%와 하위 40%의 소득 비중을 비교하는 것이 한 나라의 소득 불평등을 더 정확하게 측정하고 계산하기 쉬울 것이라고 제안하였습니다. 팔마는 각 국가의 정책 방향에 관계없이 인구 중 중간 50%의 소득 분포가 모든 국가에서 놀라울 정도로 유사하다는 점을 지적합니다. 그들은 국가에 따라 더 다양한 양극단의 소득 비중을 살펴보는 것이 각 국가의 불평등 정도를 측정하는 더 빠르고 좋은 방법이라고 주장합니다. 팔마비율(Palma ratio)로 알려진 이 방법은 지니계수의 단점인 소득분배 곡선의 중간부(즉, 중산층)의 변화에 ​​덜 영향을 받도록 설계되어 정책적인 영향이 덜 반영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경제학에서 불평등 측정 방안
불평등 측정 방안

반응형